곤충 매개 바이러스 위협의 과거와 현재
- 전문가 제언
-
○ 곤충 매개 바이러스는 곤충에서 생물학적으로 증식한 다음 타 숙주를 감염하는 바이러스로서 환경 등 여러 가지 인자들에 의해서 유행 양상이 달라진다. 시기에 따라서 정도는 다르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수만 명의 환자를 유발한 적이 있으며 근래에는 환자 수가 십여 명 이내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자연 환경에 따라서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유행 양상은 새로운 양상을 띨 수 있다.
○ 1999년 미국의 뉴욕을 비롯한 북미 지역에서 갑자기 새로운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유행이 시작되었다. 새로이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후에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로 알려졌으며 우리나라에서 오fot동안 문제되어 오고 있는 일본뇌염과 같은 종류의 프라비 바이러스과에 속하여 우리에게도 관심이 큰 바이러스이다.
○ ·본 리뷰에서는 세계적으로 새로운 출현을 보이는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의 원인이 되는 인자들과 예상되는 미래의 추세 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이 내용은 일본뇌염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어 중요성이 크다. 또한 외국의 많은 지역이 우리나라와 연계를 갖고 있음을 감안할 때 거의 모든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유행 양상에 관한 새로운 유행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새로운 유행 양상을 나타내는 인자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경이다. 산림의 파괴는 모기의 서식 양상을 변화시킨다. 많은 지역에서 버린 담뱃갑이나 타이어 내에 고인 물에서 산란한 모기에 의하여 바이러스 감염 기회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모기의 서식 기회를 감소시키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또한 국제 여행에 의하여 모기가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도입된 모기에 의해서 새로운 유행을 가져다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모기를 옮길 수 있는 비행기, 화물선의 검역은 대단히 중요하다. 기후의 온난화에 의해서 이전에 유행하지 않던 지역에서 새로운 유행을 시작하는 사례가 많다. 따라서 도입된 모기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형성이 없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저자
- Scott C. Weavera,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85(2)
- 잡지명
- Antivir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28~345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