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밤나무가 주도하는 삼림에서 서식동물의 다양성에 관한 삼림연령 임계값
- 전문가 제언
-
○ 삼림 연령이란 단순한 것으로 들리지만 생태학적으로 효과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삼림관리에 필수적인 것이다. 젊고 성숙된 삼림 그러나 잘 관리되고 있는 삼림은 오래된 삼림과는 종의 구성이나 구조, 사회생태학적 기능 면에서 매우 다른 형태를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인간의 토지사용은 이미 중앙 유럽 삼림의 일부 종집단의 발생을 전체적으로 상실시키거나 극적인 감소를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벌채의 대상이 되는 종에서는 심각한 현상이다. 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중앙유럽에 나타나는 천연적으로 울창한 종인 너도밤나무(beech)를 들 수 있다.
○ 본 검토는 오래된 나무숲에 민감한 분류군의 발생과 관련되는 삼림 연령의 임계값의 범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목들의 평균 수명은 350~400년이며 이 수명과 연관되는 종들의 총체적인 임계값이 회귀적 분할 방법으로 계산되었다.
○ 세 가지의 분류군에서 부지당 종의 수는 삼림 연령에 따라 상당한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이 딱따구리 조류 종(hole-nesting bird)은 물론 절멸 위기 종인 지의류(linchen)와 연체동물(mollusc) 종들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임계값은 절멸위험 종들에서 상당히 낮은 임계값을 나타내는 연체동물을 제외하고는 전체적 종집단의 대하여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 이 임계값은 적목질(red heartwood)의 형성을 피하기 위해서 너도밤나무 입목의 순환 기간을 140년보다 짧게 줄이려는 목적을 가진 경제적 관점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수목과 입목들의 연결을 확고히 하는데 중요한 것이며 벌목의 대상이 되지 않아서 벌채 민감 종에 대한 피신처나 분산 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본 글이 우리나라 임업분야에 종사하시는 연구진들께 일부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저자
- Christoph Moning, Jorg Mull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9
- 잡지명
- Ecological Indicato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22~932
- 분석자
- 김*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