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에어로졸의 장기관측과 화산의 영향

전문가 제언
○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은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태양복사를 방해하여 기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특히 화산의 분출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 분포를 크게 증가시키며 이들은 해양에 도달하는 태양광을 감소시켜서 허리케인 등 태풍의 활동을 억제하고 해양표면을 냉각시키고 있다. 기후모델과 관측 자료를 보면 화산활동 등이 해양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고 있다.

○ 최근 아이슬란드 화산폭발에 따른 화산재의 비산우려로 장기간의 비행중단으로 인한 혼란이 야기된바 있어 새삼 지구촌의 대기상태에 대해 크게 관심이 고조된바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에어로졸이 대기 중의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자유대류권의 배경 대기조건을 측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고산지역의 관측이 장기간 시계열데이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 이 글은 고산지역에서 오존, SPM농도 등을 관찰하고 화산활동 전후의 에어로졸 측정을 통해서 매우 깊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보인다.

○ 우리나라의 기온상승은 지난 100년간 약 1.7℃에 육박할 정도로 상승하고 있는데, 제주도에서 장기관측을 실시하고 있으나 고산지역으로서 인근 오염원의 영향이 없는 측정지역을 선정하여 장기관측이 필요한 시점이다.

○ 에어로졸의 변화는 중위도 및 고위도 지역에서 특히 커지므로, 적합한 고산지역이 부족한 우리로서는 대안으로 다양한 대기 질 모델의 개발과 함께 고산 청정지역에서 장기간 시계열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도록 특히 북한과의 협력으로 광역적 측정데이터의 확보방안도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Kazunori NAKAGOMI and Takao KATSU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4(2)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7~122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