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닉스 폴리머와 고도 정보통신
- 전문가 제언
-
○ 최근 디지털 콘텐츠의 증가, 화상 처리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대용량의 정보를 순간에 전송할 수 있는 컴퓨터와 서버 간 10Gbps의 통신 속도 등 정보처리의 고속화 요구가 비약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가까운 장래에는 오피스, 병원, 데이터 센터 등의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에서도 이 요구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현재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는 유리 광섬유로 되어 있지만 가정과 기업으로 연결되는 가입자망은 구리 연결선이다. 구리선을 광섬유로 교체하는 일은 너무 비싸기 때문에 이용자 컴퓨터까지의 수백 미터 구간은 광대역 속도의 병목지점이 되고 있다.
○ 플라스틱 광섬유의 주된 문제는 유리 광섬유보다 신호를 더 빨리 흐리게 만들고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이며, 신호의 감쇄와 왜곡은 전송속도를 제한한다. 대표적인 플라스틱 광섬유인 PMMA 광섬유는 650nm에서만 잘 전송할 수 있고 850nm 이상의 파장에서는 흡수가 강하여 적외선 응용에는 부적합하다. 더 낮은 509nm LED를 사용하면 전송손실이 더 줄어들 수 있지만 전통적인 적외선 통신파장과 맞지 않는다.
○ 일본의 Keio대학에서는 새로운 불소계 플라스틱 광섬유를 개발하여 은 10Gbps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나 기존의 유리계 파이버 및 POF에서는 도저히 달성할 수 없었던 유연성을 세계 최초로 실현시켰으며 기존의 석영계 광섬유의 구부릴 경우 통신 저하문제 등을 개선하였다.
○ 플라스틱 광섬유에 대한 연구개발은 미국, 일본 및 유럽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유리 광섬유의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플라스틱 광섬유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Koike Yasuhi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8(3)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