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와 바이오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온실가스 기반 LCA
- 전문가 제언
-
○ 우리의 사회활동은 주로 석유에 의존하고 있다. 2007년 연간 4×109톤의 에너지 소비 중 90%가 석유이며 주로 수송, 열, 전력생산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다. 나머지 10%는 석유화학과 화학 산업의 용제, 윤활제, 플라스틱, 합성고무 및 섬유, 세제 등 제조 시 원료물질로 이용되었다.
○ 한정된 석유자원은 가격상승을 불가피하게 하였다. 최근의 예로 2008년 중반기 오일가격은 배럴당 거의 150달러에 육박하였다. 이러한 가격상승은 우리의 경제?사회에 부정적인 충격을 주었다. 석유사용 증가는 지구와 해양의 평균온도를 상승시키게 되었으며 만약 사용 증가가 지속되면 지구온난화 과정은 우리의 삶을 위험에 빠지게 할 것이다.
○ 석유를 전량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바이오연료에 대한 정부정책 미비, 소비자 인식 부족 등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서울시가 운영 중인 에코스테이션을 제외하고 현재 바이오디젤을 사용하고 있는 지자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외국의 활발한 R&D 사업과는 대조를 보이고 있다.
○ 2세대 연료는 이용 측면에서 폭넓은 변화를 보이고 있어 리그노셀룰로오스 원료 및 최종 생산물인 가스 혹은 액체연료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2세대 바이오연료의 주원료는 목초와 같은 비식용작물로 충당할 수 있고 또한 성장이 잘 되는 단기 회전 산림에 의해서도 공급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 폐기물 잔사로부터의 2세대 바이오연료는 앞으로 10~15년 이내 시장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 본고에서는 원료의 다른 배합, 전환방법, 소비자의 사용 연료에 대해 광범위한 결과를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에너지 밸런스와 GHG 배출에 대한 것을 비교 검토하였다. 바이오연료는 단지 토지사용 피해를 피하고 확실한 생산기술만 적용되면 수송 부문에서 GHG 배출 경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모든 주제와 방법론에 의해 확인되었다.
- 저자
- Francesco Cherubi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53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34~447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