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용 센서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요즈음 자동차를 흔히 센서덩어리라 부른다. 그만큼 여러 기능의 많은 센서들이 파워트레인 제어, 주행안전, 쾌적성향상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적용 중인 것들은 엔진제어용 압력센서를 비롯하여, 에어백용 중력(G)센서, 차량운동제어용 각속도(yaw-rate)센서, 주변감시용 밀리파 레이더, 레이저 레이더 등 100개 이상에 이른다.

○ 자동차용 센서들은 크게 안전?운전지원, 연비?환경, 안심?쾌적 등 3개영역으로 대별할 수 있고, 대개 사용비율이 비슷하다. 이 자료는 안전?운전지원과 환경과 쾌적성에 초점을 두고 이를 위한 센서의 동향과 미래의 방향을 분석하였다.

○ 자동차 센서는 1980년대까지 자동차운행과 안전의 보조적 수단으로 가격기준 3% 수준에 머물렀지만 최근에는 ABS, 에어백, 타이어압력, 실내외온도 제어, 주변 환경감시 등 차량 전체의 기능으로 확대되어 2015년에는 그 비중이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이 중에서 엔진제어용 압력센서, 에어백용 G-센서, 운동제어용 각속도센서(yaw-rate sensor), 주변감시용 밀리파 레이더, 레이저 레이더 등 광기능 센서, TPMS용 압력센서, 에어컨용 온도 및 가스센서 등이 있다. 이들 센서와 액추에이터의 장착 증가는 소형화, 저 에너지소비, 코스트다운 과제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한 중요한 기술적 대안이 MEMS기술에 의한 센서의 개발이며 지금 그 추세가 진행 중이다.

○ 국내에서도 일부 MEMS 센서들이 개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신뢰성, 재료의 해외의존, 제조인프라 부재, 인력과 장비의 부족 등이 과제이다. 특히, MEMS 파운드리의 부재는 센서산업의 기초를 어렵게 하고 있다. 다만, 운영 중인 RFID/USN센터(인천 남동공단)는 향후 국내 MEMS센서산업의 열쇠를 쥐고 있는 기구다. 이 센터와 센서R&D 연구기관들의 결집을 통한 센서산업형성과 경쟁력강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FUJIKAWA Touma, KUSHIDA Tomoyoshi, SENDA Hide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64(2)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10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