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 개일시계의 전사네트워크의 물리적 시뮬레이션
- 전문가 제언
-
○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시계가 내재되어 있으며 생체리듬은 생명이 가진 기본적 특성이다. 많은 생물에서와 같이 포유류에서는 생체진동은 시계단백질에 의해 통제되는 일련의 시계유전자의 전사네트워크에 의해 조절된다. 최근 연구에서 세포주기 과정과 DNA손상 반응경로가 생체주기 조절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 포유류에서 시상하부의 SCN(Suprachiasmatic Nucleus)에서 통제되는 주된 생체시계는 24시간 주기로 생리적 신호를 조절하는 다른 진동자들을 동시화 하도록 기능하게 한다. 이는 SCN의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몇 가지 유전자들이 하룻동안에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억제되는 것을 말한다.
○ 인간의 중추나 말초조직의 생체시계와 그 기능을 이해하여 시기에 적합한 투약이나 방사능조사를 행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증진시키며, 또한 시차증상으로 고생하는 여행자나 야근자에게 필요한 식사시간 등에 대해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체시계가 환경인자나 행동패턴으로 인하여 분열하게 되면 암 발생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도 시사되고 있다.
○ 이와 같이 분자수준이나 거시적인 수준의 이들 주기적인 변화는 빛이나 섭식과 같은 환경적인 자극과 약물 및 방사선요법에 대한 생물응답에 영향을 미치며, 전 세계적으로도 시작에 불과한 이 연구는 특히 동적인 생명현상의 해석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수준의 영상관찰 방법의 개발과 함께 몸의 항상성의 분열로 인한 많은 질병과 생체시계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학계의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Tadenum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54(15)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958~1964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