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나노튜브-고분자 복합재료
- 전문가 제언
-
○ 1983년 Showa Denko와 Hyperion Catalysis가 처음 생산을 개시한 이래 현재 전 세계적으로 35개사가 카본나노튜브(CNT)를 생산하고 있는데, 그 생산능력이 1,300톤에 달하고 있지만 그 수요는 기대치에 못 미치고 있다. 이는 CNT의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에 비해 아직도 CNT 가격이 고가로 실용화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 본 보고서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수단으로서의 CNT/고분자 복합재료는 기존의 카본섬유나 유리섬유 보강 복합재료에 비해 그 경제적인 이점이 충분하지 못한 것이 현실로, 향후 대량생산에 의한 CNT의 가격이 현저하게 낮아진 후에나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 CNT를 비교적 소량 첨가해도 그 효과가 발현되는 전기전도성 복합재료의 용도 분야인 반도체 운반용 Tray 등에서도 아직은 카본섬유 복합재료에 비해 경제성 면에서는 열위이지만, 투명도를 요구하는 용도 분야에서는 조금씩 적용이 시작되고 있는 시점에 와 있으며 향후에 CNT의 가격이 현재의 100$/Kg 수준에서 50$/Kg 수준으로 떨어지면 그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전도도를 발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CNT의 고분자 상에의 분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CNT의 개질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충분히 이루어 졌다고 생각되지만, CNT/고분자 복합재료가 성형재료로서 산업적으로 충분한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용융분산법으로도 그 특성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수준의 용융분산 공정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끝으로 본 보고서의 출처에는 1994년 처음 고분자 그래프트 CNT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후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30종 이상의 고분자 그래프트 CNT의 연구 결과들이 잘 정리 되어 있으므로, 특정 고분자 그래프트 CNT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자료가 필요한 독자는 이를 참고했으면 한다.
- 저자
- Zdenko Spitalskya, Dimitrios Tas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57~401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