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실조증의 발증 메커니즘
- 전문가 제언
-
○ 통합실조증의 발증 작용기전에 대하여 유전과 위험인자, 도파민이나 글루타민산 등의 신경전달물질 이상, 취약성 스트레스 가설과 통합실조증의 전개, 신경발달 장해가설 등을 해설하고, 조기?최조기 발증의 통합실조증의 이상 연구에서 얻어진 지경을 더하여 통합실조증을 소개하였다.
○ 최근에 세로토닌 특히 5-HT2 수용체의 관여가 주목되어 제2세대항정신병약이 통합실조증의 제1 선택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도파민 D2수용체의 차단작용이 작고 세로토닌 계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이 적으며 약성증상과 음성증상에도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 통합실조증의 전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환상과 망상 등 증상의 출현에 의하여 현재화를 확인하고, 발증과 현재화(顯在化: manifestation)를 명확히 구별하게 되어 치료의 시기나 의미가 지금보다 더 확실하게 되었다. 취약성의 형성과 발증의 쌍방 또는 경우에 의하여 현재화에까지 관여할지도 모른다.
○ 통합실조증에 대한 생물학적 이상에 관하여 뇌의 병리학적 연구, 뇌 화상 연구, 신경생리학적 연구 등 여러 영역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각 방면의 탐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각적인 연구를 통합함으로써 통합실조증의 본태를 해명하고 적절한 치료약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Mzumotou A.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61(1)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3~17
- 분석자
- 김*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