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실조증 환자의 다음증 치료
- 전문가 제언
-
○ 통합실조증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에서 그 발증에는 환경 소인보다 유전적 소인이 관여하는 것이 많은 것으로 해명되고 있다. 유전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유전자의 발현이 환경에 작용한 통합실조증의 발증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신경 발달장애 가설이나 취약성-스트레스 가설에 크게 관여하는 위험요인으로서 보고되고 있다.
○ 일본 사가의과대학과 미 죤즈 홉킨스대학 등의 그룹이 통합실조증의 발증을 촉진시키는 구조의 일부를 해명해내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어떤 단백질의 변이에 의해 정보 전달에 중요한 신경 세포의 돌기가 신장되지 않는데, 이는 새로운 치료약을 개발하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하고 있다. 통합실조증 등 정신질환의 환자에서 변이가 있는 ‘DISC1’이라는 단백질로서 세포의 이동과 형태 변화에 필수적인 별도의 단백질에 붙는 것을 규명했다. 통합실조증은 환각과 망상, 의욕과 사고력의 저하 등을 불러일으킨다.
○ 다음증(多飮症)은 정신과의 치료에서 진기하지 않은 병태이나 그의 병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문제를 일으키는 병태이다. 그 원인에 대하여 지금까지 몇 개의 가설이 있으나 현시점에서 확립된 것은 없다.
○ 약물요법으로 다음증을 개선하기는 곤란하며 원 질환인 정신과질환의 치료가 개입하여 개선을 도모하여야 한다. 치료의 목표는 음수행동을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때문에 원 질환에 대한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개의 환자의 정신 상태나 능력, 환경 등을 합하여 심리사회적 요법으로 접근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지도 등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다음증에는 중증도에 의하여 여러 가지 단계가 있으며 중증에 맞는 대응이 필요하다. 약물요법에서 다음증을 개선하는 것은 곤란하며, 어디까지나 원질환인 정신과질환의 치료를 개입시켜 개선을 도모하여야 한다.
- 저자
- Kawaue k.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61(1)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8~102
- 분석자
- 김*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