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icroRNAs: 암 유전자, 혹은 암 억제인자, 아니면 암의 주된 조절자인가?

전문가 제언
○ microRNAs는 1993년에 발견되어 RNA간섭(RNAi)라는 이름으로 널리 아려진 적은 double strands RNA(dsRNAs)이다. 이것이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표하여 노벨상까지 수상하게 된다. 적은 RNAs에 의해서 특정한 유전자가 묵살되는 소위 RNAi에 대한 분야는 꼬마선충에서 시작되어 지난 10년 동안에 곤충, 진균, 식물, 척추동물 등 다양한 생물에서 알려지고 있다.

○ RNAi은 전사 후에 특정한 유전자를 표적으로 진화에서 잘 보존된 하향 조절하는 유전적인 감시 장치로 보고 있으나 실제로는 어느 유전자를 막론하고 하향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래서 RNAi의 이해와 그 합성으로 유전자를 조절함으로써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 최근 들어 microRNAs가 암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암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microRNAs가 단순히 종양에서 나타난다는 것보다도 암유전자를 작동시켜 발생과 진전에 관여하는가 하면 종양억제자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그러나 많은 진전에도 불구하고 임상에서는 기대했던 것과 같은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으로 합성한 RNAi가 특정하게 작동하지도 않고 면역반응 등 다양한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에 안전성에 초점을 두고 암의 발생과 진전을 검토하고 있다.

○ microRNA는 암유전자의 발현을 하향조절하기보다는 암 네트워크 허브에 있는 중요한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최근 들어 암에 대한 연구가 DNA 시퀀스 보다는 miRNA와 후생유전에 관심이 높아지고 국내연구진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어 기대를 갖게 한다.
저자
P. Mathijs Voorhoev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805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2~86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