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ensor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
- 전문가 제언
-
○ 식품 중의 미생물 병원체 검출은 인체 건강 및 안전과 관련된 문제의 예방과 인식의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에 따른 집락계수법, 면역학적 방법 및 PCR 방법 등의 전통적 및 표준화된 세균검출법은 결과를 산출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속한 방법의 개발을 지향하는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 식품 유래의 병원체는 수백만의 다른 세균 중에 100 cfu/g의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검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결국 신뢰할 수 있고, 신속하고, 정확하고, 간단하고, 감도가 예민하고, 선택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검출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더욱이 시료 중의 극히 낮은 농도의 병원체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in situ 실시간 모니터링에 적합해야 한다.
○ 식품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새로운 생체분자 기술은 in situ 분석을 위해서 민감도, 선택성, 신속성, 신뢰성, 효율성, 적합성 등과 같은 바이오센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센서와 같은 신기술이 가능한 접근방식을 보여주지만 바이오센서가 현실화되고 신뢰할 수 있는 선택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
○ 광학적인 기술은 전기화학 검출법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감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다. 대조적으로 전기화학 기술은 매우 간단한 절차를 포함하지만 병원체의 검출을 위해서는 보다 강화된 성과를 요구한다. 광학 및 전기화학적 검출법 등의 분석기술에도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감도와 비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신속한 방법은 더 나은 성과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 병원체 검출을 위한 새로운 기술은 식품가공 및 식품제조 분야에 커다란 상업적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미생물 병원체의 검출이 신속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여 오염되지 않은 식품을 단시간 내에 유통시키면 냉장 저장의 필요성을 더욱 배제할 수 있다.
- 저자
- Vijayalakshmi Velusamy, Khalil Arshak, Olga Korostynska, Kamila Oliwa and Catherine Adle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8(2)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32~254
- 분석자
- 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