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GPP의 펨토셀 표준화 동향

전문가 제언
○ 3GPP의 펨토셀 표준은 네트워크구조, 무선 및 간섭, 펨토셀 관리 및 보안의 4개 주요 영역을 포함한다. 3GPP Release 8이 2009년 4월 완료되었다. 이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펨토셀의 상용화를 위한 필수조건으로 여긴 기본적인 펨토셀의 표준을 제공한다. 따라서 펨토셀 기기와 부품들의 생태계 발전, 제조업체들이 만드는 다양한 기기들의 호환성 및 펨토셀에 연결되는 브로드밴드기기들에 내장되는 펨토셀 기술을 제공할 것이다.

○ 3GPP는 IMS, 핸드오프, hotspot과 기업용 펨토셀 기기의 운용과 보안 등 3G WCDMA 펨토셀의 진일보된 기능을 제공하는 Release 9을 2009년 말 완료 목표로 추진하였다. 더불어 Local IP Access 기능 등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Release 10을 추진 중이며 4G LTE 펨토셀을 다음 단계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2010년 와이브로와 LTE-어드밴스드 기술 표준화작업에 대비하면서 펨토셀 표준화작업도 병행하여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SK텔레콤과 KT는 데이터통신에 더 적합한 펨토셀 상용화에 관심이 높고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또 펨토셀에 DSL모뎀기능 등을 탑재하면 유무선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컨버전스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데이터중심의 신규서비스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변기지국과의 간섭, 핸드오프 지원 등 개선점들이 남아있어 정확한 상용화 시기는 정하지 못하고 있다.

○ 펨토셀은 데이터서비스, 유무선 통합서비스, 기존 매크로셀 용량 향상 등 많은 장점이 있어 기본적인 Release 8 완료와 함께 여러 장비와 부품 제조업체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적극적인 상용화를 위해서는 개선된 기능을 제공하는 Release 9과 Release 10의 완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보인다. 그러나 기술적인 문제 못지않게 허가된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는 소규모기지국으로서 댁내 설치되는 펨토셀의 관리 및 제어 등에 대한 책임문제규정 또한 상용화의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저자
Douglas N. Knisely, Takahito Yoshizawa, Frank Favichi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47(9)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8~75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