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흡착과 생물축적의 환경응용
- 전문가 제언
-
○ 생물흡착(biosorption)은 전통적으로 우리가 많이 이용하는 기술이다.
- 첫째는 우리가 된장, 간장을 담글 때 지푸라기에 있는 생물을 넣어 독성 금속류나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기술이다.
- 둘째는 삼계탕 등의 각종 음식, 한의학적 탕류에 대추, 감초, 당귀 등을 넣어, 한약성분은 추출하고 이에 있는 생물의 상승작용으로 독성물질은 흡착시켜 제거하는 기술이다.
- 셋째는 보리차, 옥수수차, 율무차 등의 음료용 차류에 보리, 옥수수, 율무 등을 넣어 그 성분을 추출하고 거?에 있는 미생물의 상승작용으로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기술이다.
○ 생물축적(bioaccumulation)은 전래적으로 한의학, 약물학 분야에서 생물막(biomembrane)이나 살아있는 생물의 액체막(liquid membrane)에 약물을 능동 투과시켜 미량으로 축적시키던 기술이다. 또한 하·폐수처리에서 이용하는 활성오니, 미생물의 오염물 농축도 생물축적의 응용분야이다.
- 근래에 농·축산 분야에서 각종 한약재와 거기에 있는 미생물을 가축사료에 미·소량으로 혼합해 먹여 사육하고 한우, 염소, 사슴, 닭, 오리 등의 고가 육류를 생산한다. 전래적인 한의학·약물학적 생체축적 기술을 농·축산업에 용용한 기술이지만, 과학적인 이론화의 뒷받침 없이 발전하는 실정이다.
○ 생물흡착 및 생물축적 기술은 전통·전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더 우수한 실용기술로 보유하고 있지만, 기초과학 분야이므로 과학적인 이론화와 해석이 크게 결핍된 상태라, 체계적 산업화가 아직 미흡하다. 앞으로 환경생태학적 산업화의 선두주자로 크게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과 경제성이 매우 크다.
- 저자
- Katarzyna Chojnac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6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99~307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