겔 캐스팅으로 제조한 다공성 세라믹스에 의한 환경문제 해결
- 전문가 제언
-
○ 산업용 폐기물이나 도시 폐기물을 무독성 천연산 바인더와 함께 분쇄하여 만든 슬러리를 교반으로 기포를 생성하게 하고 캐스팅했다. 천연산 바인더이므로 연소해도 유독가스의 방출이 없다. 폐기물로 다공질 재료를 제조했으므로 폐기물을 반복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기 정화에 이용한다면 환경문제 해결에 다시 한 번 기여한 셈이다.
○ 현재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필터는 하니컴 형태로 압출성형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기공의 크기나 기공률의 조절에 문제점이 있어서 제조 방법을 개선하려고 계속 노력하고 있다. 그 일례로 인위적으로 설계된 구멍을 뚫어놓은 스펀지를 슬립에 담갔다가 꺼내서 소성함으로 원하는 기공의 다공체를 얻으려고도 했다. 겔 캐스팅으로 비관통성 구멍을 설계하거나(?) 기공의 크기가 다른 이중층 구조를 이루는 등 기공의 구조를 조절할 수 있다면 배기가스 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겔 캐스팅한 다공체를 아르곤 분위기에서 소결하여 기공 내에 남은 탄소로 전기 저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필터 자신이 히터 역할을 겸했으며 질소 함유 배기가스의 산화도 가능케 되었다.
○ 건축물 내벽에 음향이 반사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벽에 흡음제를 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흡음제로서 질석을 열처리하여 팽창한 다공질 재료를 사용했으나 근래 이들의 재료를 더욱 싼 값으로 얻으려고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건물의 보온 또한 필요 불가결한 문제다. 폐기물로 단열제를 겸한 흡음제를 싼 값으로 제조한다면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겔 캐스팅 방법으로 세라믹스의 기공의 구조를 다양하게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무독성 세라믹 다공체를 제조하여 폐기물을 영원히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저자
- Minoru Takah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29
- 잡지명
-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23~828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