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 전력의 발전원가 산출방식 개선

전문가 제언
○ 발전원가 분석에서 원가요소로 고려할 사항은 발전원에 따라 다양하다. 자본비(capital cost, 폐기물 처리 및 해체비 포함)는 화석연료 발전소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고 재생에너지 및 원자력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으며 자원재활용(waste to energy), 파력 및 조력 그리고 태양광/열의 경우 가장 높다.

? 운전비(유지보수비 포함)는 원자력, 석탄 및 자원재활용이 높고 재생에너지, 석유 및 가스를 사용하는 첨두발전소가 낮다. 연료비는 화석연료 및 바이오매스가 높고 원자력과 재생에너지가 낮으며 자원재활용은 음수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연간 가동률은 첨두발전소는 3% 수준, 풍력은 30% 수준, 원자력은 90% 수준이다.

? 금융비용은 차입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은 차입조건을 조정하면 태양광 발전 설비의 발전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환경 공해가 없는 등의 장점을 음의 비용으로 환산하여 추가할 수 있다면 이미 태양광 발전원가는 다른 발전원에 비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환경 공해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화석에너지의 대체 수단은 결국은 태양에너지가 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에너지원이 대체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에너지원이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계통의 다른 발전원의 비용과 대등한 수준이 되는 상태) 과정을 거쳐 가격 수준의 역전이 발생해야 한다.

? 태양광 발전이 이를 만족하는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발전도 당연히 필요하겠지만 그리드 패리티 개념을 재정립하고(초기 투자비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발전소 전 수명에 대한 비용을 고려), 발전차액지원제(feed-in tariff)를 비롯한 정부의 지원정책과 더불어 금융기관의 자금 지원 방식에도 전향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 태양광 산업계는 정부지원만 겨냥할 것이 아니라 기술 발전 노력과 동시에 적극적인 자생의 노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Singh, Parm Pal,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35(3)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563~569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