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핸드셋의 데이터 보호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Wi-Fi 시스템의 업/다운 링크를 통해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라우터와 호환성을 갖는 획기적인 네트워크 연동 부가장비들이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다. WPAN은 약 10m 이내의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아직 초기 단계인 WPAN 구축기술에 이 기술의 핵심인 모바일 핸드셋의 데이터 보호기술과 접목한다면 확장성 및 사용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국내 산업계의 연구개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 스마트폰의 출시로 인해 다종다양한 생활편의 부가서비스의 확산, 트위터(twitter)를 통한 인맥(인적 네트워크) 구축 및 획기적인 금융IT 서비스 등이 빠르게 상용화되면서 모바일 생태계의 판도를 변화시켜가고 있다. 아울러 모바일 핸드셋의 기능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단말기, OS, 모바일 콘텐츠 및 부가장치로 대별되는 스마트폰 수익모델 및 신사업전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러한 시기에 국내 관련 기업도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빠르게 대중화되어가고 있는 모바일 핸드셋의 주요성공요인으로 데이터 보호와 아울러 디스플레이 품질을 들 수 있다. 이는 모바일 TV 서비스 시장 성공에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약 25%의 사용자들이 만족스럽지 못한 시청 경험으로 인해 시범서비스 이후 상용서비스를 중단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고의 모바일 핸드셋 데이터 보호기술은 서비스 품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유망기술로 평가된다. 이에 국내 하드웨어 제조업체, 통신사업자 및 모바일 콘텐츠 제공업체의 공동 개발노력이 요구된다.
○ 2009년 전 세계 모바일 핸드셋 출하량 약 11억 5,000만대 중 셀룰러폰과 스마트폰이 전체의 약 8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체제(OS)는 아직 MS-windows 모바일과 심비안이 높은 채택률을 보이고 있으나 안드로이드의 약진이 기대된다. 다양한 핵심기능 블록들을 통합 탑재한 칩셋(chip set)기술이 개발되면서 운영체제 플랫폼을 차별화하고 있다. 4G-LTE 및 WiMAX 칩셋 개발은 Altair, Wavesat, Comsys Mobile 등이 기술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저자
- QUALCOMM Incorporate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9064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20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