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네트워크의 위치탐색 기술
- 전문가 제언
-
○ P2P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로컬 및 원격지 서버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인증정보 등을 획득하기 때문에 서버에 집중되는 트래픽을 완화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아울러 부가적인 인프라의 추가 없이 각 피어 노드가 독립된 피어로서의 자율성(autonomy)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방법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어 국내 관련 기업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 P2P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로컬 및 원격지 시스템 서버는 넓은 영역에 분산된 피어 노드(peer node)의 핸드오프 정보 및 인증정보 DB를 TCP/IP를 통해 다수의 피어 노드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분산 제어가 실행된다. 이때 제어모듈은 핸드오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별도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기존의 제어모듈에 타 제조사의 이동단말기 접속표준을 탑재하여 통합 프로토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 효과적인 핸드오프를 위한 핵심요소인 피어 노드의 메타데이터 정보는 고속 이동 환경에 따른 가시성 있는 감시 및 제어정보, 셀룰러 시스템 서버 운용 스케줄링 정보, 분산된 피어노드의 송수신 가능상태 정보, P2P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스트-클라이언트 접속정보, 범용의 대중화 된 컴퓨터 OS(운영체제)를 통한 멀티태스킹 수행정보, 시스템 고장진단 정보, 분산된 피어노드의 고속 탐색정보, 셀룰러 시스템 서버의 주변기기 및 DB 확장정보 등을 적시에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가용능력이 필요하다.
○ 이 기술은 3G~4G 과도기를 맞고 있는 국내 이동통신시스템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1G(1992~1996)→ 2G(1996~2000)→ 3G(2000~2008/2009)→ 4G(2008/2009~)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이동통신 환경변화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QoS(Quality of Service)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설계 시 다양한 부가장비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 표준을 개발하여 차별화 된 부가서비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OTOROLA,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271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7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