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소기업에서 매개네트워크 모델에 의한 개방형 혁신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중소기업에서 매개네트워크 모델에 의한 개방형 혁신”을 주제로 하여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중소기업의 상황에 두면서 중소기업과 연계하여 매개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네트워크 모델에 의해 혁신을 조장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한국 중소기업간 협업경영협회의 매개활동에서 이루어진 한국 중소기업 개방형 혁신의 성공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연구 결과가 중소기업에 대한 개방형 혁신의 잠재력을 지지하고 네트워킹을 중소기업에서 개방형 혁신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과 중소기업의 혁신조장은 경제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이니시어티브이며 중소기업의 혁신 촉진에는 관련 지식의 교류, 기업 간 협력 및 네트워킹과 제휴가 중요하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혁신은 국가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혁신의 원천에서부터 상업화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혁신 프로세스에서 내부자원뿐만 아니라 외부의 아이디어와 기술-즉, 기업내·외부의 자원-을 활용하여 혁신의 원천을 다양화하고 내부혁신을 가속화시키면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기술의 가치를 제고하는 새로운 21세기형 혁신 패러다임이다.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은 한국 중소기업간 협업경영협회(KICMS)의 사례에서처럼 중소기업간 협업방식인 매개네트워크 모델에 의거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 경쟁과 시장 선점을 위해 개방형 혁신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R&D의 넛크래커(nut-cracker)현상을 타개하고 기술발전/시장/고객니즈 등의 급변에 부응하기 위해 개방형 혁신이 필요하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일본 등 선진국에서처럼 매개네트워크 모델에 의거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촉진시키는 중소기업간 협업을 지원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관련제도의 개선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Sungjoo Lee, Gwangman Park, Byungun Yoon, Jinwoo Par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9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90~300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