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전체 재료

전문가 제언
○ BaTiO3 등의 강유전체 재료에 각종 금속산화물과 혼합한 혼합결정 또는 복합물을 만들어 특성을 개량하여 실온에서 1000~20000 이상의 큰 비유전율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비유전율은 온도 및 전압에 대한 변화율이 크지만 소형으로 보다 단순한 전극구조로 대용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세라믹 콘덴서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BaTiO3 분말 합성기술은 제조 과정에도 영향을 받지만 출발물질인 세라믹 분말의 선택에 의해 좌우되므로 세라믹 분말의 성질은 매우 중요하다. 중요 인자로는 마이크로 미만의 미세한 입자 크기, 균일한 크기의 입자 분포, 균일한 형상 등 화학적 고순도, 조성과 결정상의 균일성 등이다

○ 북미의 2010년 반도체 기기용 유전체 재료의 시장 규모는 연평균 7.3% 성장하여 US$ 1억5,200만으로 예측되며 세계 전체 시장 규모는 US$ 10억1,200만으로 전망하고 있다.

○ 국내는 삼성전기, 삼화콘덴서 등에서 유전체 재료에 대하여 연구개발 및 생산을 하고 있으나 세라믹 콘덴서 이외에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본 논문에 의한 펄스통전 프로세싱은 입경의 제어, 환원영역을 이용한 전기특성 제어나 복합성분의 유전특성 제어에 우수한 프로세스이다. 또한 단시간에 열처리가 가능하여 난소결성 재료의 소결 문제점이나, 이상입자성장으로 고밀도 소결체를 얻는 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논문에 의한 펄스통전 프로세싱을 연구 개발하여 양산에 적용 시 현재의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Takeuchi Tomona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22(11)
잡지명
マテリアル インテグレ-ション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5~61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