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에서 풍력발전 CDM 사업 투자 리스크

전문가 제언
○ 국제에너지기구(IEA, 2005)에 의하면 풍력발전은 지난 25년 동안에 기술 발전과 정책 지원 및 시장 성숙으로 발전비용이 0.6-0.7 달러/kWh 수준에서 0.05-0.07 달러/kWh 수준으로 1/10 이하로 떨어졌다. 결과적으로 세계의 풍력발전 용량과 관련 시장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말에 93.8GW이었으나 2009년 말에는 159.2GW가 되었다.

○ 중국은 재생에너지법(2006년 시행)을 통하여 풍력발전 등의 재생에너지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풍력발전 잠재력은 1,000GW 이상이며 풍력발전 용량은 2007년 말에 5.71GW에 불과하였으나 2008년 말에 12.2GW(세계 4위), 2009년 말에 26GW가 되어 독일(25.8GW)을 제치고 미국(35.2GW)에 이어 세계 2위가 되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중국의 당초 목표는 2020년까지 30GW의 달성이었으나 이를 10년 앞당겨 2010년에 달성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

○ 최근에 우리나라의 현대중공업도 중국의 풍력발전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중국의 다탕산둥발전은 각각 80대 20의 비율로 투자하여 산둥성 웨이하이에 7만평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2011년까지 600㎿(2㎿ 풍력터빈 300대)를 개발할 계획이다. 현대중공업은 이미 군산산업단지에 연산 600㎿ 규모(2013년까지 800㎿로 증설)의 풍력발전기 공장을 설립하여 1.65㎿급의 풍력터빈을 생산하고 있으며 향후 2.0∼5㎿급의 풍력터빈을 생산할 예정이다.

○ 이와 같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중국 풍력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중국의 전력시장은 규제(해외투자자 불이익)와 에너지정책(낮은 전력가격, 지역 중심의 전력망)이 불확실하고 또한 풍력발전 전력의 전력망 접속가격을 공공입찰로서 결정하고 있어 가격 불안정에 따른 투자리스크가 적지 않다. 이는 해외 및 민간투자자들의 중국 내 풍력발전 사업에 대한 투자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 이 자료는 현재의 중국 상황에서 풍력발전 사업의 투자리스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풍력발전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어 우리의 관련 업계에서 크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Ming Yang, Francois Nguyen, Philippine De TSerclaes, Barbara Buchn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8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436~1447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