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NMD에 의한 mRNA배제와 질환

전문가 제언
○ 진핵세포 내에는 여러 가지 mRNA감시메커니즘이 존재하며 이들 메커니즘은 핵과 세포질 내에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핵 내에서 mRNA분자의 정상기능을 감시하는 것은 세포질로 이동하기 전에 비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전사를 분해하는 것이다. 세포질에서의 감시메커니즘은 mRNA전사의 조기종지코돈(PTC)의 유무에 대해 평가한다.

○ 이러한 mRNA감시메커니즘의 하나인 NMD는 PTC를 함유한 mRNA를 탐색하여 신속히 분해하는 것을 말하며 해로운 불완전한 단백질의 합성을 방지하여 변이에 의한 인간의 질병을 포함한 여러 가지 퇴행성 변이를 감시하기 때문에 중요한 방어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NMD가 야생형 유전자발현 조절 역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NMD메커니즘이 정상적인 유전자의 발현 조절이나 선택적 스플라이싱에도 이용된 보고가 있는데, 이는 NMD가 정상세포 기능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NMD저해제(NMDI)가 질병치료에 응용 가능한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발암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변이가 발암의 원인이 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는 NMD가 발암을 초기단계에 억제하지만, 역으로 암유전자인 경우에는 오히려 NMD가 암세포의 변이를 제거하여 증식시킴으로써 발암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NMD의 작용을 억제해야 한다.

○ 이와 같이 NMD의 개발에 있어서는 유전성 질병에 따라 NMD제제나 NMDI제제를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며, 질병의 원인이 유전자로부터 전사와 스플라이싱에 이르는 핵 내와 세포질에서의 과정에서 언제 어디서 일어나는 변이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원인 검색에 대한 고속처리 방법의 개발이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되며, 아울러 가능한 제제의 개발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Aki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54(16)
잡지명
蛋白質核酸酵素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19~2225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