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세테이트 섬유

전문가 제언
○ 섬유는 크게 화학섬유와 천연섬유로 분류된다. 더 나아가 화학섬유는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합성섬유, 무기섬유로 분류된다. 세계의 원료 섬유 생산량은 73,576천 톤이고 그 중에서 아세테이트의 생산량은 약 1%로 아주 적은 소재이다. 3대 합성섬유로 불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과 달리 일반 소비자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반합성섬유인 아세테이트 섬유에 대하여 그 역사, 특징, 용도 전개 및 차별화 섬유로서의 소재 개발현황에 대하여 정리해 본다.

○ 아세테이트 섬유의 생산 능력은 그 후 개발된 폴리에스테르섬유와 같은 합성섬유의 확대와 함께 설비의 증감, 축소 및 철수가 진행되었다. 아세테이트 토우는 미량 증가된 것에 비해서 아세테이트 장섬유는 일본에서 Teijin이 2002년 디아세테이트 장섬유에서 철수하였다. Celanese가 2001년 트리아세테이트 장섬유와 2005년 디아세테이트 장섬유에서 철수하였고 한국 SK 케미컬이 2009년 디아세테이트 장섬유로부터 철수를 발표하였다.

○ 아세테이트의 기능적 특징을 살리는 관점에서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복합방사기술에 의한 소재개발을 실시, 디아세테이트와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이드-바이-사이드로 복합 방사함으로써 특수사를 개발하였다. 향후 혼합방사 기술이나 복합방사 기술, 후가공 기술을 구사한 신규 소재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 아세테이트 장섬유는 성장이 두드러진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그 시장을 양보하고 세계적으로도 지역적으로도 생산량이 감소하여 이제는 희소 소재가 되었다. 그러나 아세테이트 장섬유는 소비자로부터 지지받는 특징과 특성을 가지고 있고 여성용 의료 분야에서는 뿌리가 강한 인기가 있는 차별화된 특수섬유이다.

○ 한국으로서는 유일한 메이커인 SK가 장섬유 사업 철수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아세테이트계 섬유의 특수 이용분야는 여전히 존재함으로 후가공 기술이나 복합화에 의한 용도 개발은 지속되어야 한다.
저자
Kanatani Sho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6(3)
잡지명
纖維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8~102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