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역난방용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

전문가 제언
○ 본고는 스웨덴의 지역난방 시스템에 바이오매스 가스화를 적용할 때 발생되는 경제적인 효과와 CO2 배출 감축 잠재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가스화 이용은 열을 지역난방 네트워크에 공급하고 재생에너지에 의한 전력이나 바이오연료를 생산한다.

○ 가스화에는 폐기물 소각로, 바이오매스 가스화 가스엔진 열병합 발전(BIGGE: Biomass Integrated Gasification Gas Engine), 복합사이클 열병합 발전(BIGCC: Biomass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에서 나오는 증기를 외부에서 과열증기로 가온하는 과열기와 수송연료로 사용하는 합성 천연가스의 생산을 포함한다.

○ 가스화 방법으로 각기 다른 경제 지표, 투자 옵션 및 기술 시스템을 사용한 단기 2개 시나리오, 중기 4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최적화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난방 수요를 충당하는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소의 투자와 운전에 가장 적합한 대안이 되는 발전소의 경제 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난방에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소를 도입하면 지역난방 공급자에게 경제적 이익을 초래하게 되고 지구 CO2 배출 감축에도 도움이 됨을 알았다.

○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소는 지역난방 시스템에 고가의 제품(전력 혹은 합성 천연가스) 생산 잠재력을 증진시킨다. 그러나 바이오연료와 재생에너지에 의한 전력 요금의 정책적인 배려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법이 결정된다.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은 미래의 지역난방 공급자에게 흥미가 있는 발전이며 2020년의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목표 도달에 필수 방안이 될 것으로 앞으로 계속적인 개발과 장기적인 정책적 지원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단기간에 국토 녹화에 성공한 나라이다. 성장기에 있는 나무들이 탄소흡수율이 높은 만큼 나이 든 나무는 제거하여 화석연료 대체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의 방편으로 축적된 삼림자원을 화석연료 대체연료로 이용할 것을 제언한다.
저자
Kristina Difs, Elisabeth Wetterlund, Louise Trygg, Mats Soederstroe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4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37~65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