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의 특성과 용도

전문가 제언
○ 폴리아릴레이트(PAR)는 2가 페놀과 방향족 다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로 된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이다. 비스페놀-A,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프탈산으로부터 만들어진 PAR의 특징, 유동성, 내약품성 등을 개선한 고분자로서 처음에는 얼로이 등을 통한 플라스틱 용도로 전개되었으나 현재는 섬유로도 전개되고 있다.

○ 1997년 7월 5일 NASA의 화성탐사기가 화성 착륙에 성공하였다. 그 때 착륙방법이 기발하였다. 24개의 에어백(air bag)을 화성탐사기에 장착하여 화성 지표에 14m/s로 충돌하고 최초는 12m까지 튀어 오른 후 15회 튀다가 착륙한 것이다. 이러한 기발한 착륙방법을 성공으로 이끈 한 가지 요소는 가혹한 조건을 견딜 수 있는 물성을 갖는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인 벡트란(VECTRAN?)이 에어백 소재로서 사용된 것이다.

○ 최근 신규 고분자 개발 및 기능성 고분자섬유 개발에 있어서 끊임없는 진보가 있어 왔다. Kevlar, PBO, Spectra, Dyneema, PEN 섬유 등 고성능 섬유 생산의 최근 진보와 함께 고강도 M5 섬유, 고탄성 XLA 섬유, 자기수축성 섬유 T-400, T-800 등 신규 섬유가 등장하였다.

○ 한국의 섬유산업은 한때 장치산업으로서 크게 각광을 받았으나 지금은 선진기술 산업으로의 변환을 압박받는 격동의 시대를 겪고 있다. 한국의 중심 섬유산업은 고분자를 사용한 합성섬유이다. 1990년대까지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생산 거점으로서 세계에서 주력 생산국으로서 역할을 하였으나, 그 후 의류 등의 양산 분야에서 중국 등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런 흐름 가운데 한국 섬유산업은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요소기술의 극대화와 새로운 산업 창조를 위해 기술혁신에 도전해야 한다.

○ 고가이면서 소비량이 대량이 아닌 특수 섬유의 경우 원료 고분자의 제조가 세계적으로 한두 메이커에서만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량체, 중합, 섬유화, 제품까지를 일괄 생산하는 시스템을 갖는다는 것은 리스크가 매우 크다. 어느 한 단계에서 세계적인 기술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면 바로 그것이 한국의 현실에 적합하다고도 볼 수 있다.
저자
Yorimitsu Shuhe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6(3)
잡지명
纖維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6~90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