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선 충전 시스템

전문가 제언
○ 2007년 이전까지 주를 이루었던 전자기 유도방식의 무접점 충전기 방식은 이후 마이크로파와 주파수 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 송신으로 충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상용화 제품의 차별성 및 방향성은 아직 뚜렷하지 않지만 기술개발 경쟁은 치열한 상황이다. 최근 공진을 이용한 연구가 점증되고 있으나 전송효율 향상 및 수요시장 형성, 기기의 고가, 기기 및 서비스에 의한 수익성 약화, 충전 소비전력 부담 등으로 인해 상용화에 애로가 있다. 이에 산학연의 공동연구개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해주는 무접점 충전기 관련 특허 출원은 2002년까지 29건에 불과하던 것이 2003~2007. 11월까지 총 92건이 출원되었다. 스마트폰의 출시와 함께 지속적인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10년 하반기에 제품출시 가속화와 함께 특허전쟁도 강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모바일 스마트 제품의 주도권 전쟁에서 무선충전 기술은 콘텐츠와 OS기술, 비즈니스 모델이 주요소인 만큼 부가장치로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스마트 폰 패러다임에서 기존의 모바일 폰 부가장치 개념이 아닌 핵심 요소로서 기술성능 향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무선충전기 업체 간의 공동연구개발이 가속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도 여기에 가세하고 있다. 정책적으로 기술의 해외유출 방지와 전략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시점이다.

○ 주요 휴대폰 업체들은 그동안 국제표준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선충전 기술의 전면 도입을 주저해왔다. 2010년 4월 국내 대형 전자업체와 노키아 등이 주도하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는 최근 전 세계 40개 회원사를 상대로 무선충전기의 인터페이스 표준규격1.0 버전을 발표했다. 향후 WPC1.0 호환 무선충전기 제품출시의 가속화가 예상되며, 기존 및 신규 스마트폰 제품 대비 무선충전기의 맞춤형 부가장비 시장의 수요 확산 여부가 수익창출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충전패드나 거치대가 아닌 폰 자체 케이스 형태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저자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00609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8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