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경금속재료의 복지기기 응용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10.7%(7~14%의 경우 고령화 사회로 분류)로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노인 부양비율(65세 이상 인구/15~65세 인구×100)도 14.7%로 점점 고령화 되고 있다.

○ 또한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산재환자 발생 수도 많아져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차량과 휠체어의 수요가 늘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05년 4월에 현대와 기아자동차가 처음으로 복지 차량을 개발하여 「2005년 서울 모터쇼」에서 선을 보이고, 8월에는 장애인 특별위원회 주최로 복지차량 시승식을 가진바 있으며 사회가 장애인들에 대한 복지에 관심이 깊어가고 있다.

○ 휠체어도 국내에 보급이 원활하고 정부의 지원 폭이 넓어 장애 정도에 따라 무료로 지급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가볍고 활동하기 쉬운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특성을 고려하여 앞으로도 많은 연구와 개발이 있어야 할 부문이라고 생각한다.

○ 이 자료에서는 복지기기를 경량화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재료의 밀도, 인장강도 및 탄성율을 비교하여 검토하였고, 사용자의 촉감을 감안한 열전도도와 체적비열을 조사하였다. 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나 연구자에게는 많은 참고가 될 자료라고 생각되며 보다 값싸고 적합한 재료 개발에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마그네슘 합금 재료의 검토가 없었다는 점이다.

○ 인구의 고령화와 산업의 거대화 및 수송 장비의 스피드화로 후천성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점 더 많아질 것이다. 이들에게 보다 적합한 복지기기를 마련해주기 위해서는 국가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절실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저자
Masahiko Ike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47(10)
잡지명
輕金屬溶接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12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