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온용융염과 실온이온액체를 이용한 Al 및 Al합금전석

전문가 제언
○ AlCl3계 용융염의 전극반응은 용융염 중의 Cl-농도 혹은 AlCl4- 농도에 따라 전위의 이동이 일어난다. Cl-농도가 낮아 귀한 전위로 되면 Al의 전석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위 값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첨가제가 개발되고 있다.

○ 용융염 전해액은 조성과 몰 농도에 따라 영하 50℃에서부터 200℃까지 전해온도 제어와 함께 저온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150℃전후에서 염화나트륨을 용융염으로 사용하였다. 최근 전해작업 온도를 낮춘 유기물계 실온 용융염으로 개발되는 추세다.

○ 최근 Mikito UEDA 등은 저온 용융염과 실온 이온액체를 이용한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전석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유기용매 첨가로 상온 용융염욕제조가 가능하며 순도의 순수 알루미늄전석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나 공기전지용 음극에 적용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AlCl3-EMIC와 AlCl3-BPC 용융염은 200℃ 이상의 온도에서 염화알루미늄이 급격히 증발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 용융염 합금전석은 세계적으로 1989년 G. Stafford가 고내식성의 Al-Mn 합금전석을 강판코일에 적용하였고 1994년 T. Moffat가 Al-Cr과 Al-Ni 합금전석, 최근 Al-Li 합금전석 미국특허와 Mikito UEDA 등의 Al-Cr-Ni 합금전석이 공업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리튬수소 환원제를 사용한 무전해 알루미늄도금기술도 개발되었다.

○ 최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제시한 용융염 전해자료에 의하면 한국지질자원연구소 엄형춘 등이 99%이상의 무수마그네슘 용융염제조를 하였고, LG전자에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여 납품하고 있는 반월공단의 GKE사에서는 폐기되는 알루미늄-마그네슘 스크랩을 활용할 목적으로 용융염 전해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향후 유기용매를 사용한 실온 용융염을 이용한 알루미늄 용융염 전석기술이 향후 알루미늄-마그네슘-티타늄합금 응용 고강도 경량 휴대폰이나 소형 이동통신 부품에 적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Mikito UE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60(8)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91~496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