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을 이용하는 환경기술의 발전

전문가 제언
○ 식물을 환경생태계에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식물환경복원(phytoreme- diation), 곡물 영양강화(biofortification), 식물이용 광물추출(phytomining)기술 등이 있다.

- 지표면 얕은 층의 금속오염은 그 처리가 쉽지 않다. 이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식물을 이용하는 식물환경복원 기술(phyto- remedi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환경정화 및 복구에 많은 양의 금속을 흡수할 수 있는 식물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의 예로는 Ni/Co로 오염된 땅에서 NI/Co를 고농도로 흡수할 수 있는 Alyssum(Brassicacea family) 등이 있다.

- 곡물 영양강화(biofortification)의 예로서 필리핀의 국제 미작연구소(IRRI: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한 보통의 쌀보다 철분이 4~5배 많은 신품종 쌀이 있다. 이러한 쌀은 철분이 많은 토양에서 철분을 흡수할 수 있는 벼 품종을 개발한 것으로 철분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철분을 공급하는 기능 쌀이다.

- Phytomining은 토양 중의 광물질을 식물에 농축시키고, 수확한 바이오매스에서 광물질을 추출하는 법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식물을 이용하여 금을 추출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환경복구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이 가져야 할 특성으로는 오염금속을 많이 흡수하여 체내에 저장할 수 있는 능력, 넓은 기후변화 범위에서 생장할 수 있는 능력, 재배의 경제성과 수익성이 있다. 환경지표식물의 특성으로는 토양의 금속을 흡수하여 특유의 고유한 독성을 표면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 토양오염의 처리에서 화학적 처리 또는 ex-situ처리법의 비용이 톤당 100~500$인 데 비하여 식물환경정화 기술은 톤당 5~40$ 정도로 보다 경제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우리의 토양과 기후에 맞는 식물을 개발하여 환경정화에 다양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다.
저자
M.N.V. Prasad, Helena Freitas, Stefan Fraenzle, Simone Wuenschumann, Bernd Marker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58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23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