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오염이 생활환경에 미치는 취약성 평가기법
- 전문가 제언
-
○ 취약성 지수(Vulnerability Index)는 미래지향적 개념으로서 강점과 아울러 약점을 파악하고 발생 가능한 재해에 대하여 준비대책을 마련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사회적 취약성 지수(SoVI: Social Vulnerability Index)를 만들어서 미국의 각 군(county) 단위로 자연재해에 대한 준비성과 재해복구에 필요한 자원을 지수로 나타내고, 이 지수를 지도상에 표현하여 자연재해에 대비하고 있다. 미국의 SoVI 산정에는 42개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였다.
○ 기후변화, 환경오염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각 나라가 입을 수 있는 피해 가능성을 평가하는 지수로서는 환경취약성 지수(EVI: Environmental Vulnerability Index)가 있다. 이 지수는 UNEP와 남태평양 응용지구과학 기구(SOPAC: the South Pacific Applied Geoscience Commission)에서 만든 것으로 각종의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각 나라가 입을 수 있는 피해의 가혹도(severity)를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 EVI를 만든 목적은 EVI를 사회적 경제적 취약성 지수(Social and Economic Vulnerability Indices)와 같이 사용하여 각국의 지속가능 개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환경요인을 찾고자 함에 있다. 나라의 개발에는 사회, 경제, 환경이 세 축으로서 작용하며, 개발과정에서는 이 삼자가 서로 트레이드오프(trade-off) 되는 관계에 있다. 지속가능 개발을 위해서는 각 나라의 특성에 맞추어 이 삼자를 적절하게 조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론상으로만 존재하였던 이론을 실제 경우에 적용하여 위험요소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함으써 위험을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위험관리에만 적용하였던 개념을 소규모의 지역사회에 적용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도 이제부터 EVI기법을 다양하게 개척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에 시범적으로 활용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는 생각이다.
- 저자
- M.J. Perles Rosello, J.M. Vias Martinez, B. Andreo Navar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5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5~335
- 분석자
- 길*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