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태양 에너지에 의한 수소생산 기술개발

전문가 제언
○ 대형 수소 프로그램이 국제기구를 비롯하여 세계 많은 국가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예로서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수소 생산과 이용에 관한 협약”, 미국의 “수소 R&D 프로그램 장기계획”, 일본의 “세계 에너지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중국은 태양수소 생산 연구개발을 위하여 2003년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대규모 수소생산 기초연구”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이 글은 중국의 태양수소 생산 R&D의 현황을 개관하고 그 동안의 중요 성과를 설명하였으며, 또 태양수소 생산 분야의 개발동향과 향후 연구방향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 이 글은 원저자가 속해 있는 실험실(SKLMF)에서 연구하고 있는 태양수소 연구 특히 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가스화에 의한 수소생산과 광촉매 물 분해에 의한 수소생산 연구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다. 본문에 실험장치 사진과 개념적 공정도를 포함한 것이 이채롭다. 이 두 분야에서의 중국의 연구가 상당히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인용문헌의 수에서도 연구가 매우 활발함을 알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21세기 프런티어 사업으로 2003년에 "고효율 수소에너지 제조·저장·이용기술개발사업단"이 출범하였다. 이 수소사업단은 수소에너지의 제조, 저장 및 이용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재순환이 가능한 청정에너지원의 수급체계 및 활용 시스템의 실증을 실현하는 데 목표를 두고, 국내 여러 연구기관과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태양수소를 비롯한 여러 수소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재생가능 수소생산 기술개발도 실용화를 위해 상당한 진전을 이룩했다고 생각하지만, 이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보고 내지 평가보고서는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위 수소에너지 사업단은 수차례 수소에너지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는데 외국의 현황은 자세히 소개되는 데 비하여 국내의 현황보고는 내용이 빈약하거나 찾을 수 없다. 재생가능한 수소생산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로드맵은 없지 않으나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계획과 추진상황 보고체계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L.J. Guo, L. Zhao, D.W. Jing, Y.J. Lu, H.H. Yang, B.F. Bai, X.M. Zhang, L.J. Ma, X.M. W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34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73~1090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