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수명을 연장하는 것
- 전문가 제언
-
○ 식이제한이 수명연장과 각종 노화관련 질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유병팔교수(UT San Antonio)에 의하여 제기되었고 국내에서는 서울의대의 박상철교수가 주축이 된 노화학회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대, 시립대, 부산대, 한림대 등의 연구진들이 이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 식이제한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개인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에 근거한 처방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극단적인 식이제한은 무월경, 불임, 노령근육퇴행증(sarcopenia), 골다공증, 면역결핍증 등 여러 가지 해로운 효과를 나타낸다. 영양실조가 되지 않도록 영양균형을 유지함을 물론 영양 외적인 인자들도 고려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 여러 가지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하여 식이제한이 어떤 신호전달과정에 관련되어 있는지 알 수 있게 되었고 이들 경로를 저해하는 약품들이 알려져 있어 활용여부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TOR경로를 저해하는 rapamycin은 면역억제제 이다. 면역이 억제되면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많은 병원체들에 대항하여 살고 있는 인간에게는 치명적이기 때문에 부작용, 역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보통 사람들이 약물 투여를 통한 식이제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생각한다.
○ 최근 생화학적 분석법의 발전으로 메타볼로믹스(metabolomics) 등을 이용하면 단시간에 개인의 체내 생리활성 물질들의 전체적 농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새로운 분야의 기술을 이러한 건강하게 수명을 연장하는 데에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 저자
- Luigi Fontana, Linda Partridge, Valter D. Longo4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328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21~326
- 분석자
- 김*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