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층강판의 계면형성과 강도발현 기구
- 전문가 제언
-
○ 강판을 2장 이상 포개어 압착한 강판을 복층강판이라 하며 이 복층 강판은 물성이 다른 금속끼리 적층하여 서로 다른 물성의 특성을 유효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고강도 복층강판이나 지연파괴 특성이 있는 복층강판의 제조는 냉간압연과 고온열간 압연을 통하여 복층강판을 개발하고 있는데, 본 보고에서는 상온접합, 냉간압연 및 저온 열처리에 의한 복층강판의 계면형성과 강도발현기구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 국내에서 스테인리스계 복층강판에 대하여는 POSCO에서 복층 스테인리스강판을 전지케이스용으로 개발하고져 스테인리스판에 Ni을 접합하는 복층강판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마침 Nambu 등이 Ni과 고연성 스테인리스강(SUS304)을 상온 표면활성화접합, 냉간압연 접합하는 연구를 발표하였으므로 참고가 되리라 생각된다.
○ 자동차용 강판 및 구조용 강판 등은 고강도와 인성이 있는 강재를 요구하기 때문에 종래부터 페라이트기지에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조직을 혼합시킨 이상조직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재료의 인장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적어도 인장강도가 1200MPa 이상, 파단연신율이 20% 이상의 재료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 물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연선강과 초고강도강을 복층하여 연성을 겸비한 고강도강판을 제조하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 국내에서 복층재료는 플라스틱계 복층판, 건축용 복층판넬, 그라스복층판 등 복층이라는 용어와 재료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최근에 복층강판이 신재료로 등장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현대제철이 초강도 경량복층강판을 차세대 자동차용으로 인장강도가 1200MPa 이상의 고강도, 고연성 복층강판을 2008년부터 개발하고 있다. 본 보고서의 복층강판은 고연성 SPCC와 초고강도스테인리스강(SUS 420J2)을 복층하여 냉간압연법으로 제조한 방법임으로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저자
- NAMBU Shoich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80(4)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89~293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