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러시아의 다국 간 가스 파이프라인 전략

전문가 제언
○ 천연가스(NG: Natural Gas)를 수송하는 방법은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가스 생산(수출)기지에서 천연가스를 액화하여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선박으로 수송한 후에 가스 인수(수입)기지에서 다시 기화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천연가스를 산지의 가스형태 그대로 파이프라인으로 수송하여 PNG( Pipe-Line Natural Gas)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 우리나라는 현재 지리적 혹은 국제 정세적인 여건상 천연가스 전량을 LNG 형태로 수입하고 있다. LNG는 메탄(CH4)이 주성분인 무색 투명한 액체이며 액화과정에서 공해물질을 제거한 후에 수송을 목적으로 -162도로 액화하여 천연가스의 부피를 약 1/600으로 줄인 것이다.

- 우리나라는 1986년부터 인도네시아로부터 LNG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연평균 약 16%의 성장률로 이용량이 증대되어 왔다. 현재는 연간 약 2,700만 톤(2009년 기준)의 LNG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카타르, 오만, 브루나이, 알제리, 이집트, 트리니다드토바고, 호주, 에콰도르, 기니, 아랍에미리트, 나이지리아 등에서 수입하여 평택, 인천, 통영 등의 인수기지에서 이를 다시 기화시킨 다음에 도시가스(약 60%)와 발전연료(약 40%)로 사용하고 있다.

- 또한 우리나라는 앞으로의 가스 연료의 수요 증대에 대비하여 도입 대상국도 PNG 형태를 포함하여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새로운 LNG 인수기지(삼척)도 건설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PNG 형태를 통한 에너지 수입은 많은 의미를 가진다. 이 보고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러시아의 동시베리아와 극동지역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수출 확대정책을 우리의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정책과 연계시켜 긍정적으로 적극 검토하면 양국의 상생적인 이익은 물론, 동서 냉전시대에 구서독이 구소련의 가스를 PNG 형태로 수입하여 활용하던 시절에 역사적으로 경험한 사회적 성과를 우리 자신도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저자
Masumi MOTO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88(12)
잡지명
日本エネルギ―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69~1080
분석자
조*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