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열성 미생물 컨소시엄에서 CO 역할

전문가 제언
○ 많은 박테리아와 고세균은 단일 탄소나 에너지원으로 CO를 이용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 클래스의 수소함유 멤버는 지열지역에서 일정한 빈도증가와 함께 분리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미생물 게놈이나 생화학적 분석으로 구체적인 생리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 서식환경의 생태계 연구나 CO 오염물질 제거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현재까지 발견된 사항을 보면, 호열성 미생물은 생태학적 기초과정에 그들 대사활동을 연계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CO 산화는 대사과정에 물질교환 메커니즘의 필수사항으로, 수많은 호열성과 중온성의 미생물 생태계 기능을 각종 산업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면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각종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CO는 헤모글로빈과 강력하게 결합하여 산소공급을 차단하고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 체인을 억제하는 독소로 포유동물과 미생물에도 치명적이지만, 일부 호열성 미생물 공동체에게는 치사가 아닌 Wood-Ljungdah1 경로의 핵심 중간물질로 CO2를 Acetyl-CoA에 고정시킨다.

○ 본고에서는 혐기성 대사생리의 개요, 다양한 환원반응의 CO 산화연계, 대사기능에서 게놈 연구의 중요성을 비롯하여 호열성 공동체의 CO 소스와 싱크, 영양공생, 현재까지 진행된 CO 산화와 관련된 생화학, CO 반응의 전사조절 등 전반적인 연구현황을 요약함으로써 이 분야 연구에 주요 정보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에서도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한 산업폐수 고도처리나 농업용 미생물 제제 개발 및 이들 미생물 균주분리와 동정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여기에 유전공학이나 분자생물학 기법이 접목되면 기대 이상의 활용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보여 향후 연구결과가 기대된다.
저자
S.M. Techtman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1(5)
잡지명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27~1037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