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사막 남서부 양상추 생산용 IPM

전문가 제언
○ 자연과학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로 먼 미래를 향해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과 경제적 상황 및 기초 자료를 충분히 확보한 후 구체적인 개발동기가 부여되어야 한다.

- Stern 등은 종합방제 개념(ICC)을 창안할 시 해충내성, 2차 돌발과 부할, 합성농약의 과다한 잔류성은 오늘날 선택성 살균·살균제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문제는 실험실이나 일부 자연현상에서 관찰된 사항을 양상추 같은 신선채소 재배에 적용하는 일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특히 미 사막 남서부와 같은 특이 환경에 종합 병해충 관리(IPM)를 도입하려면 바이오 방제를 우선 확립하여 합성농약 최소화 방안을 제시해야 하고, 이를 실천하는 농민의 실행 가능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 본고는 미 사막 서남부 지역 양상추 재배에 IPM을 도입하여 50년이 경과하면서 신선채소의 시장거래에 대한 변천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도입 초기에는 농약 이외 대안이 없어 최적의 방제시기를 규명하여 소비자와 시장에서 요구하는 최소 잔류독성에 주력하지만, 바이오제제 개발이 활성화 되면서 IPM이 정착하게 되었다.

○ 우리나라는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합성농약과 화학비료 및 기타 합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 투입하여 생산한 농산물로서 전환기간에 따라 3년 이상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산물,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무농약과 농약을 1/2 이하로 사용한 저농약 농산물로 대별하고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자연농법을 정착하는 것이다.
저자
J.C. Palumboa, S.J. Castleb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65(12)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11~1320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