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X100~X120급 초고강도 라인파이프

전문가 제언
○ 녹색에너지 자원인 천연가스의 장거리 운송을 위한 라인파이프 재료의 고강도화에 따라 X-100급 이상의 라인파이프는 압력을 높이고 두께를 줄여줌으로써 향후 가스운송비의 절감이 예상된다. 고급 강재에 대한 용접기술의 개발은 이와 같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핵심과제 중의 하나이다.

○ 현장의 파이프라인 조립용접을 위해 종래의 가스메탈 아크용접과는 달리 동일한 용접토치를 통해 두개의 용접와이어를 공급하는 탄뎀형 가스메탈 아크용접(GMAW)시스템, YAG 레이저는 파이버를 통해 전달될 수 있어서 현장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YAG 레이저 레이저빔 용접의 성능을 높여 주는 하이브리드 레이저­아크용접법, 아크 주위를 자기코일이 회전하는 자기구동아크 맞대기 용접법(Magnetically Impelled Arc Butt Welding: MIAB welding) 등이 개발되고 있다.

○ 천연가스 수송용 라인파이프의 용접부에 요구되는 주요 특성으로는 충분한 강도와 인성, 내식성, 내수소유기균열성, 내용접균열성 등이 있으며, X-120급 이상의 라인파이프 용접에 사용하는 용가재는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와 마르텐사이트의 혼합 미세조직을 만들 수 있도록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시베리아의 영구동토를 경유하여 한국으로 연결되는 장거리 파이프라인용 탄소강이나 저합금강을 용접할 경우에는 다층용접부의 용착금속과 용접열영향부에서 용접저온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의 용접입열량과 용접예열온도, 그리고 후열처리조건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본문에서 소개한 이중전극 소모식 탄뎀형 GMAW 공정의 기초가 되는 GMAW 용접부에는 언더컷, 기공, 용융불량, 오버랩, 스패터, 불완전 용입 등의 용접문제들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새로운 탄뎀형 GMAW 공정을 개발할 때는 전극 극성의 전류치, 지속시간, 입열량, 전극간의 상호 위치, 용가재 와이어 송급속도 등의 용접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용접문제점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용접시공기술을 종합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Ishikawa Nobuyu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78(6)
잡지명
溶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45~549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