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지원 기술
- 전문가 제언
-
○ 1980년대에 네트워크에의 접속대상은 일반 가전제품이었으나 1990년대 후반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AV(Audio Visual) 가전제품이나 PC기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이들 기기가 주 접속대상으로 되어 홈 네트워크를 정보가전 네트워크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본격적인 실용화는 되지 않고 있다.
○ 2005년경부터 홈 네트워크라고 말할 정도는 아니나 일반 무선액세스 망으로서 IEEE 802. 11 WG(Working Group)에서 표준화된 무선 LAN이 현재 홈 네트워크의 유력한 후보로 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의 필요성은 방범, 방재, 의료, 건강, 가전 제어 등이며 이외에 에너지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 2009년 이후 홈 네트워크의 필요성 외에 에너지 절감에 대한 급격한 요구로 가전기기의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센서 네트워크의 개발,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앞으로 홈 네트워크에서의 배송 기술과 이에 관련된 기술 표준화, 비즈니스 개척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홈 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사양으로 OSGi규격이 있다. 이 규격은 각 가정에서 상이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OSGi를 중심으로 홈 네트워크에서의 배송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국내의 홈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서는 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한 IT인프라 구축 및 관련 산업의 촉진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에서 홈 네트워크 분야의 기술 개발은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전자통신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한국 홈 네트워크산업협회에서는 U-life를 선도하는 홈 네트워크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 홈 네트워크?정보가전 시장은 2008년 3조9천억, 2010년에는 5조7천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세계시장은 2007년 1026억 달러, 2010년에 1620억 달러로 연 19% 이상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 저자
- Masaki NAK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93(4)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28~333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