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잡해조의 고도이용

전문가 제언
○ 다년생 해조류인 곰피(Ecklonia stolonifera)는 온대성 해조류로 우리나라에는 동해안 남부에 분포하여 자연 상태에서 5년간 생육하며 각 연령군의 그룹이 혼생하여 군락을 이룬다. 숲은 조하대 수심 2~10m에 형성되고 수산동물의 서식처로 해양생태계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 곰피는 성게, 전복 등 유용 해산동물의 먹이원으로 해중림의 주요 구성종이며, 경남지역에서는 쌈채소로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곰피에는 알긴산뿐 아니라 순도가 높은 푸코이단의 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염증작용과 항암작용을 갖는다.

○ 갈조류에 특징적으로 함유된 푸코크산틴(fucoxanthin)은 카로티노이드로 광합성에 있어서 청록색 파장(480~540nm)의 광을 흡수하는 보조색소로서 3개의 탄소원자 사이에 2중결합이 연속한 알렌(allene)구조를 가지며, 생리기능으로서 전립선암 세포의 아포토시스(apotosis) 유도효과, 항비만 작용과 항당뇨 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 미역에서 추출한 푸코크산틴을 당뇨병비만 마우스에 4주간 투여하면 체중증가가 억제되고 백색지방조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며 열산생에 관여하는 탈공역단백질1의 발현이 유도된다. 백색지방조직은 정소와 난소 등의 생식소, 장관과 신장 주위에 존재하여 과잉한 에너지를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형으로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 곰피는 가근부를 신장시켜 선단이나 중도에 새로운 개체를 영양번식양식으로 조밀한 군락을 형성하므로 다른 해조의 생육을 방해하고 동물의 섭식에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폴리페놀화합물로 있는 플로로 탄닌을 다량 생성하여 축적하므로 수산물의 사료 해조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곰피는 식품소재로서의 기능성 성분이 건강소재로서 부가성이 높다. 또 인공양식으로서 부영양염의 제거, 다양한 지역의 해중림 조성, 여름철 고수온기 전복의 보조먹이원 등으로 그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Maeda Hayato, Azuma Kota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52(4)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3~40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