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기능 3차원 시각기술

전문가 제언
○ 디지털 가전이나 오피스 기기의 보급으로 여기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나 양, 활용 방법이 다양화 되어 있다. 정보기기도 이러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간단하게 취급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근래 차원수가 높은 데이터를 종래방식으로 고속으로 탐색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 최근 실세계에서 시각기술을 이용한 로봇에는 환경인식의 기능으로 물체의 이동이나 조작 등의 운동은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스테레오 시각으로 화면 중의 모든 점에서 카메라의 거리를 계측하는 거리화상 생성기능을 로봇에 탑재할 수 있는 3차원 시각처리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에서는 시각기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외에 디지털 휴먼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휴먼기술은 인간의 기능을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여 디지털 휴먼 모델(Digital Human Models)을 구성하여 그것을 근거로 제품, 서비스의 설계를 지원하는 것으로 개인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분야의 기술이다.

○ 우리나라에서 시각기술의 연구는 고려대학교 인공시각연구센터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컴퓨터 시각기술을 연구하여 개발된 시제품 Open-Eyes를 중심으로 기술의 문제점 및 향후의 연구방향을 구상하고 있다. 또한 전자통신연구소(ETRI)에서도 네트워크 보안 이벤트 시각화 기술로서 사이버공격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차단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향후에는 인간의 신체, 행동, 생활을 관측하여 인간을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3차원 시각기술은 미개척 특수기술 분야로서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는 실사회에서 인간생활의 기능을 데이터로 축적하여, 이 데이터를 인간이 어떠한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하여 실생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저자
Fumiaki TOM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130(4)
잡지명
電氣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29~233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