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고강도 저합금 TRIP강판

전문가 제언
○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는 래스상 또는 판상의 경질조직이므로 강의 고강도화에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조직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TRIP강으로 준안정상인 잔류오스테나이트에 응력을 가하면 변형 중에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는 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변태유기소성)현상에 의하여 강도, 연성, 인성이 현저하게 상승한다.

○ TRIP강의 실현에는 상온에서도 잔류오스테나이트가 대량으로 존재해야 하므로 초기의 TRIP강에는 마르텐사이트의 변태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Ni, Cr, Mo 등을 첨가한 고합금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Si첨가강의 오스템퍼링에 의하여 상온에서도 잔류오스테나이트를 얻을 수 있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 저함금강에서도 TRIP강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조직을 갖는 TRIP강의 대표적인 예로는 본고에서 소개하고 있는 마르텐사이트-페라이트 2상조직강(TDP강), 다각형 페라이트강(TPF강), 베이니틱 페라이트강(TBF강), 어닐링처리 마르텐사이트강(TAM강)이 있으며 TBF강의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1000~2000 MPa에 달하는 초고강도를 나타낸다.

○ TRIP강과 같은 고강도강에서는 수소흡수로 인한 지연파괴(delayed fracture)가 문제가 되고 있다. 잔류오스테나이트는 수소의 흡착장소로 작용하므로 확산성 수소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반면에 주위의 마르텐사이트에 대한 수소의 방출원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Al의 첨가는 수소에 의한 지연파괴의 억제에 유효함이 보고되고 있으나 수소취성을 방지할 수 있는 명확한 방안은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 국내에서도 TRIP강을 위시한 고강도강의 연구개발이 POSCO와 RIST룰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TRIP강보다 강도-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자동차용 고강도강으로 쌍정유기변태를 이용하는 TWIP(Twin Induced Plasticity)강을 위시하여 변형유기 동적변태(Strain Induced Dynamic Transformation)를 이용하는 미세립강, 1300MPa급 내HIC 볼트강 등과 같은 고강도강이 개발되고 있다.
저자
Ko-ichi Sugi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15(4)
잡지명
ふぇ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3~188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