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부지역 과수의 IPM 프로그램
- 전문가 제언
-
○ 현재와 같이 분자생물학이 크게 발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반세기 전 Stern과 그의 동료들은 농약의 일방적인 살균·살충제 처리만으로는 일시적 효과는 보일 수 있지만,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천적 등 바이오방제가 선행되어야 하고 농약은 이를 보조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 것이 현재의 종합병해충관리(IPM)가 탄생되었다.
○ 미국과 같은 대륙에서는 지역에 따라 농작물 재배환경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IPM 프로그램은 지역과 재배품종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마련이다. 미 서부지역은 사과, 배, 복숭아 등 주요 과실이 복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이들 과수에 IPM을 도입한지 50년이 경과하면서 그간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신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농약개발에서는 기초시험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의 적절한 처리용량과 약효 및 방제대상 이외의 동식물에 미치는 부작용과 연차별 변이를 입증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잔류성은 각종 조건에서 분해 정도와 2차 대사산물의 유해성도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최근에는 더 많은 규제와 함께 안전성 검사가 강화되고 있다.
○ 미국 서부지역은 동부에 비하여 상대 습도가 낮아 농약보다는 천적이나 바이오 살충제를 이용한 IPM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내성진화를 신속히 발견하여 다양한 작용모드의 선택성 살충제를 처리해서 해충의 내성발달을 예방할 수 있었던 것은 각종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과학이 기여하였기 때문이다.
○ 국내에서도 많이 도입되고 있는 해충 산란기 교미교란이나 주요 천적동정에 유전자 기법을 이용하기도 하고, 포식자 내장에 함유된 내용물을 이용한 정확한 예측기술은 매우 고무적인 사안으로 고해상도 비디오 모니터링과 샘플링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의 바이오방제는 유기농업에도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 저자
- V.P. Jone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65(12)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05~1310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