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살상 무기로서 리신(Ricin) 독소
- 전문가 제언
-
○ 리신은 피마자(아주까리) 씨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성분의 독소로서 abrin과 더불어 식물계 독소 중 최강 독소이며 과거 동구권에서 암살용으로 사용된 이후 주목을 받아 주요 생물무기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물무기금지협약 규제 목록과 호주그룹의 수출통제 Core 리스트에 올라 있고 미국 질병통제센터는 category B 작용제로 규정하고 있다.
○ 리신 독소는 독소의 B-사슬이 리보솜 RNA를 불활성화 시켜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고 결국 세포의 사멸과 사람의 사망을 초래한다. 체내에서 대부분 분해되어 그 흔적이 체내에 잘 남지 않는다. 리신의 독성은 흡입 시에 가장 강력하여 에어로졸 형태의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리신은 단백질이라는 것과 효과 발휘에 막대한 양이 요구되는 제한사항으로 인해 대규모 살상보다는 암살용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 피마자기름이 설사제로 흔히 사용되어 왔으나 피마자 씨에서 유래한 리신 독소에 관한 국내 연구 개발은 거의 없다. 이는 리신이 생물무기로 취급되고 있고 치료제 등으로 잘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신 독소 공격에 대비한 연구 개발도 거의 없어 이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리신에 대한 대처 방안의 연구는 미국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미국은 국방부가 중심이 되어 리신 중독에 대한 치료 및 예방 방안을 연구하고 있는데 백신의 경우 재조합 리신 독소 A-사슬(recombinant ricin toxin A-chain: rRTA) 백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금년 4월 프랑스 과학자들은 리신 중독에 대해 해독 효과를 보이는 화합물을 처음으로 확인한 바 있다.
○ 리신은 테러에서는 대량 살상보다 암살 등 특수 목적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생물학전에서는 대규모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조기 진단/탐지 방안과 예방 치료 대책이 연구되어야만 한다.
- 저자
- Leo J. Schep, Wayne A. Temple, Grant A. Butt, Michael D. Beasle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35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67~1271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