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pain Madrid Manzanares 하천의 수질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전문가 제언
○ 지구의 표면은 70% 정도가 물로 덮여 있고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1,386백만km2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중 바닷물이 약 1,351백만 km2(97.5%)입니다. 그러나 바닷물은 염분이 많아 직접 사용할 수가 없으며, 나머지 2.5%는 민물이지만 모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결국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하천이나 호수에 있는 물은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물의 총량의 오직 0.0086%에 불과하다.

○ 국내에서는 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실시간으로 하천 및 호소의 수질 측정 자료를 조회,관리할 수 있는 TMS(원격 수질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설치된 TMS관측소는 총 1,476개 소가 된다.

○ 이 물 환경 정보시스템은 물 환경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줄 수 있는 Decision Support System(의사결정시스템)이 아니라 수질 및 수생생태계 환경기준으로 건전한 수생태계를 유지하고, 물의 이용목적에 적합한 수질을 보전하기 위해서 미래지향적이고 행정안정적인 정책목표로 수질에 관련된 조사?평가 자료를 구축,제공하는 시스템이다.

○ 국내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수질모델링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수행하여 왔다. 특히 박수영 외 3인(2006)은 포괄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큰 하천 내의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질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연구하였다. 박석순과 이영석(1996, 2002)은 경사가 급하고 얕은 개천에서 수질 예측을 위한 다 성분 이동 구역모델 연구와 QUAL2E 모델(USEPA)을 기초로 하여 낙동강 수질 모델링연구를 행하였다. 한편 한강 종합개발목적으로 QUAL2E 모델이 사용 되었다.

○ 우리나라는 분명한 4계절과 하상계수(최대 홍수량/최소 갈수량)가 크기 때문에 적용하고 있는 수질모델링 적용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최적의 수질 모델링개발과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물 환경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인력과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Javier Paredes, Joaquin Andreu, Abel sole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76~2589
분석자
조*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