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 로더용 유압시스템기술의 현황 및 전망
- 전문가 제언
-
○ 휠 로더는 토사 및 암석 등의 굴착 또는 운반 작업에 사용되는 건설차량으로 광범위한 수요로 인하여 성능 측면에서 괄목할만한 발전을 거듭하였다. 휠 로더의 시장경쟁력은 기본적 성능향상과 함께, 내구수명 향상, 작업자의 안락성과 편의성, 저 진동 및 저소음 등 부수적 성능의 차별화에 따라 좌우된다.
○ 휠로더의 작업 장치는 붐(boom), 벨 크랭크(bell crank), 버킷(bucket), 전방 프레임(front frame), 후방 프레임(rear frame), 링크(link), 붐 실린더, 버킷 실린더, 조향 실린더(steering cylinder)의 보아와 로드(bore/ rod)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는 주요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반력과 동적 거동 등을 예측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휠 로더를 포함한 건설기계는 환경 친화적 방향으로 개발될 것이다. 유럽업체를 중심으로 한 클린 디젤 건설기계, 일본을 중심으로 한 하이브리드 건설기계,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연료전지 및 전기식 건설기계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볼보는 하이브리드 휠 로더를 개발하고 있으며, 고마츠는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 휠 로더는 시스템기술과 유압기기의 성능개선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시스템기술은 IT를 접목하여 전체 시스템제어 성능을 발전시키고, 유압기기는 응답성의 향상, 센서와 제어장치를 일체화하고, 계측기술과 유체 시뮬레이션기술의 발전에 의해 성능향상이 기대된다. 이 두 가지 기술의 접목으로 연비성능과 조작성이 크게 발전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하이브리드나 연료전지 건설기계 개발에 필요한 전기, 전자, 전지, IT 분야의 기술 인력이나 업체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대처하면 향후 세계 건설기계 산업을 주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부차원에서 건설기계와 부품의 성능 및 시험인증 기술을 지원하고, 고급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건설기계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전문 연구소를 운영해주기를 기대한다.
- 저자
- nunotani sat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2010(3)
- 잡지명
- 油空壓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9~25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