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삭공정에 대한 유한요소법 모델링 방법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1955년 이후 2차원적인(2D) 그리고 3차원적인(3D) 유한요소 연삭모델의 검토결과를 제시하고, 모델링 접근방법은 거시적 혹은 미시적 방법으로 분류되고, 그것은 취급하는 상호작용의 형태를 결정한다. 미시적 분석은 입자-가공물 상호작용에 집중하여 재료제거 메커니즘을 모델링하고, 거시적 분석은 연삭 휠-가공물 상호작용만을 고려한다.
○ 거시적 모델링 접근방법은 삼각형 열 유동, 정규압력, 그리고 접선응력 입력을 가진 2D 반-무한 가공소재를 사용하는 TS 모델이다. 연삭공정을 분석하는 최신 접근방법은 TP 재료로 간주하는 가공물과 접촉하는 연삭 입자를 모델링하는 미시적 방법으로 거시적 모델과 함께 기존 모형들은 그들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실험적 검증을 요구한다.
○ Mackerle는 1976부터 1996년까지 FE연삭모형의 참고문헌을 출판했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 가지 모형을 실었으나 그들의 접근이나 결과를 논의하지 않았다. Brinksmeier 등은 실증적인, 분석적인, 분자 동역학, 확률론적인 그리고 FE분석을 포함하는 많은 방법을 사용하는 연삭을 위한 실행을 형상화하는 개요를 수행했다.
○ 연삭기술 분야에서 기존 모델을 검토하고, 현재의 거시적 및 미시적 모델링 접근방법을 확인하였다. 연삭 휠을 고속 회전시켜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는 가공법으로 연삭입자들이 밀링커터의 날과 같은 절삭작용을 하고 가공면의 정밀도가 높고, 가공이 어려운 굳은 재료도 가공이 되고, 단시간에 정확한 치수가공이 되며, 연삭입력이 적어 기계 정밀공작 법 중에서 연삭에 관한 한정된 요소 모델링 접근방법들을 계속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D.A.Doman, A.Warkentin, R.Bau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9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Tools and Manufac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9~116
- 분석자
- 남*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