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희귀금속의 최근 정세

전문가 제언
○ 최근 희귀금속(rare metal)이 사회 여려 분야에서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 분야에서 요구도가 점점 커지고 있다. 티탄을 시작으로 여러 가지 희귀금속의 중요성이나 장래성에 대하여 세계적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기술이나 첨단재료 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다. 희귀금속은 화학 플랜트나 발전소 등에도 불가결한 소재이기 때문에 석유 관련업계와도 그 관련성이 매우 크다.

○ 최근에는 희귀금속을 둘러싼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오일머니의 영향도 있으나 대부분의 희귀금속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일부의 희귀금속은 가격 앙등의 배경에 공급 장애나 고갈의 가능성이 대두되어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 미디어에서도 자주 취급하기에 이르고 있다. 그 결과 일반 사회에 있어서도 점점 희귀금속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 전자기기나 자동차 등 부가가치가가 큰 공업제품의 고성능화에 수반되어 특히 전자재료용 희귀금속이나 합금용 희귀금속의 수요는 최근 20년간 비약적으로 증대되었다. 향후 이들 희귀금속의 중요성은 더욱더 증대될 것이기 때문에 희귀금속의 용도와 생산량은 가일층 증대될 것이다.

○ 바다 속에 있는 희귀금속을 캐내기 위해 일본 정부가 본격적인 탐사작업에 나서고 있다. 일본 종합 해양 정책본부는 “해저 자원에너지 확보전략”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메탄하이드레이트와 코발트 등 희귀금속 개발을 위항 해저개발과 탐사구역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희귀금속을 다량 함유한 동중국해와 태평양의 해저열수광상 34만 ㎢ 해역으로 주요 탐사지역이다.

○ 자원을 갖지 못한 한국으로서는 질이 높은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희귀금속의 프로세스 기술을 높여 부를 생산하는 것과 동시에 세계에 공헌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들 산업을 담당하는 양질의 인재 육성이 중요한 과제이다. 산업계, 행정, 대학 등이 제휴하여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여 희귀금속의 리사이클을 시작으로 하는 환경기술에 관한 고도 기술개발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저자
Toru Okab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32(12)
잡지명
ペトロテック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62~869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