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 독소를 제거하는 젖산균
- 전문가 제언
-
○ 마이코톡신의 공포가 전 세계적으로 다시 보게 된 것은 신변에서 생산하는 곰팡이가 존재한다는 것의 인식도 물론이려니와 1960년에 영국에서 10만 마리 이상의 칠면조가 사고사한 원인이 먹이에서 발육한 Aspegillus flavus의 대사산물인 아플라톡신(발암성물질로 매우 독성이 강함)에 의한 것임이 밝혀지게 된 것부터이다.
○ 주로 농산물에 기생하는 진균이 대사산물을 만들며, 이것이 사람이나 가축의 중독 원인이 되는 경우에 그 산물을 말한다. 미코톡신에 의한 중독을 미코톡시코시스(mycotoxicosis:진균중독증)라고 한다. 아플라톡신은 곡물의 오염, 특히 땅콩의 오염이 브라질 ·아프리카 대륙 ·동남아시아 등에 널리 알려져 있다. 미코톡시코시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확한 농산물을 충분히 건조시켜 저온 ·저습한 곳에 저장하여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 젖산균은 산소존재하에서 flavoprotein oxidase나 NADH peroxidase의 활성이 있으므로 과산화 수소를 생산할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catalase 활성을 가지고 있진 않으므로 hydrogen peroxide를 배지내에 분비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농도까지 측정할 수 있다. hydrogen peroxide는 superoxide ion과 반응하여 반응성이 매우 독성물질인 hydroxy radical을 형성하게되고 이 hydroxy radical 이 세포막의 지질부분이나 DNA 같은 세포구성물질과 반응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나게 된다.
○ 최근 제빵에서의 사워도우빵 제조시 이스트인 S.cerevisiae와 젖산균 배양의 동시 스타터 배양으로 함께 사용하면 박테리오신과 유사한 항균성물질 ( BLIS; Bacteriocin Like Inhibitory Substance) 및 항 곰팡이성 물질을 생성한다. 저장성 향상과 신선도, 건강을 위해서 젖산 발효 시킨 발효물을 생물소재 형태로 .국수, 떡류, 곡류가공, 육가공 등에 응용할수 있다.
- 저자
- A.M. Deschamp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1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70~380
- 분석자
- 차*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