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URFC의 막/쌍극판 재료 동향

전문가 제언
○ 유체 채널은 쌍극판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높은 전기전도도, 좋은 열전도도와 연료전지 내의 화학환경 속에서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연료전지스택에서 각 쌍극판은 2개의 이웃한 셀을 지지한다. 그래서 쌍극판의 역할은 1, 셀 내의 연료와 산화제의 도입 2, 셀 내 생성물의 배출 3, 스택 내 각 셀의 분리 4, 셀 전류의 이동 5, 생성열의 관리 등이다.

○ 이글은 통합재생연료전지(URFC)와 기존 PEMFC의 쌍극판과 MEA 재료에 대한 동향을 기술한다. URFC는 한 시스템 내에서 연료전지와 수전해의 2중 기능을 교차로 수행한다.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기존시스템에 비해 URFC가 보다 부식성 환경이어서 보다 내부식성 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 현재 그래파이트 복합물질이 낮은 접촉저항과 부식저항성 때문에 PEM쌍극판의 표준재료로 사용되나 가격과 가스의 침투성 때문에 열세이다. 이에 대하여 SS 등 많은 금속을 질화물이나 카바이드 등으로 코팅하여 접촉저항이나 코스트의 장점을 살린 채 취약점을 개선하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다. 쌍극판 재료의 이상적인 특성은 그래파이트 같은 부식저항성과 낮은 접촉저항, SS같은 기계적 강도, 반응가스의 불침투성과 단단함이다. 그러나 주 도전은 표면접촉저항을 낮추는 것이다.

○ 한편 MEA는 2개 시스템의 차이가 PEMFC는 생성물의 배출 때문에 소수성 재료가 주로 사용되나 URFC는 물의 도입과 전기분해를 위한 친수성 재료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2개 성질에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 국내도 당연히 MEA/쌍극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URFC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안다. 분석자의 의견으로는 연료전지 시스템 하나라도 확실하게 연구를 하는 것이 우리 형편으로는 좋으리라 여긴다. 앞으로 좀 더 여유가 생기면 수소의 생산이 고가이고 효율이 낮은 점을 고려하여 2중 기능을 아이디어로 활용하는 것은 좋으리라 본다.
저자
Salwan S. Dihrab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63~1668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