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준휘발성 탄소 에어로졸의 측정

전문가 제언
○ 대기오염물질인 에어로졸은 2.5㎛ 이하의 미립자로서 강우 시에 응결핵으로 작용하면서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불러온다. 암모니아, NOx와 SOx 등 무기 에어로졸은 호흡기 장애, 건물 부식 및 시정감소 등의 피해를 가져온다.

○ 대기에 형성된 황, 질산염, 유기탄소와 같은 에어로졸은 냉각작용을 하기 때문에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카본블랙은 복사에너지를 흡수해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한다.

○ 정교한 분석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대기 에어로졸의 유기성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답보 상태에 있고, 입자성 유기물질의 10~30%에 해당하는 부분만 조성이 밝혀져 있다.

○ 이러한 입자성 유기물질은 탄화수소, 알코올, 알데히드 및 카르복실산과 같은 다양한 유기분자를 포함한다. 규명되지 않은 입자성 유기물질은 대기에 있는 탄화수소의 산화, 응축 및 저중합체 형성 등의 과정을 통해 매우 복잡한 구조를 나타낸다.

○ 본고는 대기 중의 탄소 에어로졸을 측정하는 최신의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즉 활성탄 또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수지와 같은 흡수제가 들어있는 유기물 디누더(denuder)를 석영필터 이전에 설치하여 가스 상태의 유기물이 입자상 유기물질로 과대평가되지 않게 하고 있다.

○ 오존의 광해리에 의해 발생한 OH 라디칼을 위시한 산화제가 가스상의 반응성 유기물 또는 입자상태의 주요 유기탄소 입자에 작용하는 이른바 주간의 광화학적 반응에 의해 본고에서 강조하고 있는 준휘발성 유기탄소가 생성한다고 한다.
저자
Y. CHENG, K.B. He, F.K. Duan, M. Zheng, Y.L. Ma, J.H. T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74~681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